Java 문자열 처리 유틸 클래스 StringUtils 사용법

java에서 문자열을 처리할때 null 체크와 공백 처리등의 반복작업을 더 간편하게 처리할수 있는 클래스가 있다.
String value = "난문자열";
if (StringUtils.isNotEmpty(value)) {
      System.out.println("문자열이 비어있지 않습니다.");
}
isNotEmpty 를 사용하면 기존의 널체크와 값이 비어있음을 체크하는 노고를 조금 덜어낼수 있다.
 

StringUtils란?

Apache Commons Lang 에서 제공하는 문자열 처리 특화 클래스이다.
null 값의 안정적인 처리를 도우며 가독성 높은 코드 작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양한 문자열 처리 기능도 제공하는데 정규식 표현이 없이도 다양한 문자열을 비교할수 있다.
가장 자주 사용하는 메소드 중의 하나가 바로 StringUtils.isNotEmpty()이다.
 

Gradle 설정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apache.commons:commons-lang3:3.12.0'
}

 

Maven 설정

<dependency>
    <groupId>org.apache.commons</groupId>
    <artifactId>commons-lang3</artifactId>
    <version>3.12.0</version>
</dependency>

 
 

자주 사용하는 StringUtils 메소드

1. isBlank(String str) / isNotBlank(String str)
빈 문자열과 공백까지 포함해서 검사한다. 즉 " "도  blank로 취급한다.
 
2. join(Object[] array, String separator)
배열이나 컬렉션을 구분자로 연결해준다.
 
3.leftPad(String str, int size, char padChar) / rightPad(...)
문자열을 원하는 길이만큼 왼쪽이나 오른쪽에 채워준다.
주로 숫자코드에 원하는 길이 만큼 0을 붙일때 사용한다.
 
4. abbreviate(String str, int maxWidth)
긴 문자열을 ...으로 줄여준다
 
5. containsIgnoreCase(String str, String searchStr)
대소문자 구분없이 포함여부를 판단한다.
 
6. equals(String str1, String str2) / equalsIgnoreCase(...)
null의 비교도 안전하게 가능하다.